Corporate Renewable Energy Initiative(CoREi)

Home / 프로젝트 / CoREi

CoREi는 기업의 자발적 재생에너지 전환 선언과 그에 따른 목표 수립 및 이행을 지원하는 이니셔티브입니다.

기업이 재생에너지 조달을 두고 기업 안팎으로 처한 과제들을 해결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 사용확대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채널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2.12.27 추천 0 조회 863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UNGCNK), 세계자연기금 한국본부(WWF-Korea)는 11월 29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된 Korea Leaders Summit 2022에서 CoREi 세션을 진행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김태한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수석연구원이 기후정의에 기반한 공급망 재생에너지 협력을, 김종필 LG화학 지속가능전략팀장이 LG화학의 재생에너지 100% 사용 및 넷제로 선언 배경과 이행 계획을 소개하는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첫 번째 발표에서 김태한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수석연구원은 Scope 2 배출량 감축을 위해 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이 필수적인 상황에서 Scope 3까지 포함된 기후관련 공시 의무화 추세가 더해져 공급망에도 재생에너지 사용이 요구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공급망과 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의무만이 아니라 대기업이 탄소중립으로 얻는 직간접적 편익을 공유하는 방안에 대해 정부, 기업 등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기업의 기후리더십 평가 기준에 공급망 기업 재생에너지 사용 요청에 따른 원가보상 여부 포함, 대중소 상생기금 활용, 정부 직접지원, 저리대출 등의 협력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두 번째 발표에서는 김종필 LG화학 지속가능전략팀장이 LG화학의 RE100 및 넷제로 선언 배경과 이행 계획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LG화학은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해 의사결정과정에 탄소가격 미래예측값을 고려하고, 전 제품에 대한 전 과정 평가(LCA)를 도입하여 제품별 환경 영향을 고객사에 공개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신사업에는 재생에너지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달성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공급망 리더십 확보, 기후공시 의무화에 대한 선대응, 자원안보 관점에서의 장기적 산업 육성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했습니다.이어진 패널토의에서는 이유수 에너지경제연구원 본부장을 좌장으로, 발표자 및 김범수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정책과 RE100팀장, 최규종 대한상공회의소 기업RE100지원센터장, 이승준 SK하이닉스 ESG전략팀장이 함께 공급망 재생에너지...
2022.12.27 추천 0 조회 701
지난 2022년 9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직접 PPA에 관한 세부 내용을 담은 「재생에너지전기공급사업자의 직접전력거래 등에 관한 고시」(고시 2022-145호)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직접 PPA 고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직접 PPA 고시 초안과 확정안 주요 내용 비교표> 구분 직접 PPA 고시 초안 직접 PPA 고시 확정안 거래대상 태양광, 풍력, 수력, 해양e, 지열e, 바이오e 태양광, 풍력, 수력, 해양e, 지열e, 바이오e 거래규모 - 발전사업자 설비용량: 1MW 초과 - 전기사용자 계약전력: 1MW 이상 일반용/산업용전력 고객 또는 1MVA 초과의 수전설비를 설치한 자 - 발전사업자 설비용량: 1MW 초과 - 전기사용자 계약전력: 300kW 이상 일반용/산업용전력 고객 또는 300kVA 이상의 수전설비를 설치한 자 거래조건 - 직접 PPA, RPS 분할계약 허용하지 않음   - 직접 PPA, RPS 분할계약 허용 - 1개 이상의 재생에너지발전설비에서 생산된 재생전력 단일한 전기사용장소에 공급 가능 - 단일한 재생에너지발전설비에서 생산된 재생전력을 1곳 이상의 전기사용장소에 공급 가능 부족전력&초과전력 - 전기사용자의 부족전력량: 전력시장 또는 한전을 통해 구매 허용 - 발전사업자의 초과발전량: 전력시장 판매 허용 - 전기사용자의 부족전력량: 전력시장 또는 한전을 통해 구매 허용 - 발전사업자의 초과발전량: REC 발급 및 전력시장 판매 허용 전력거래대금 전력량 대금, 망이용요금, 거래수수료, 부가정산금, 전력산업기반기금 등 전력량 대금, 망이용요금, 거래수수료, 부가정산금, 전력산업기반기금 등 *재생에너지발전사업자가 한전의 송·배전용전기설비 이용하지 않을 시 망이용요금, 부가정산금 제외  이외에도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거래소가 부과하는 거래수수료를 3년간 면제하고, 중소·중견기업은 녹색프리미엄 재원을 통해 망이용요금을 1년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1년 12월...
2022.09.27 추천 0 조회 1334
글보기
2023 국내 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보고서
Level 10조회수20
2023-03-21 14:00

 

2030 국내 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보고서

CoREi와 플랜1.5가 공동으로 국내 기업의 재생에너지 중장기 수요를 추정한 보고서입니다. 산정 결과, 2030년 기준 총 재생에너지 수요는 157.5~172.3TWh 수준으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2030년 태양광 및 풍력 발전량인 97.8TWh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목차

  1. 거스를 수 없는 흐름, 재생에너지
  • 에너지 안보’ 관점에서의 재생에너지 확대
  • 화석연료보다 저렴한 재생에너지 발전단가
  • 현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
  • 기업들이 요구하는 재생에너지 확대
  1. 2030년 국내 재생에너지 수요 추정
  • 재생에너지 수요 창출 메커니즘: 자발적 이니셔티브와 RPS 제도
  • 자발적 이니셔티브 수요 추정
  • RPS제도 수요 추정
  • ‘30년 재생에너지 수요 추정
  • 정부의 ‘30년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와의 비교
  1. [Case Study] 공급망 재생에너지 수요 확대
  2.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2030 국내 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보고서 바로 보러가기>

문의: 이성은 책임연구원(seongeun.lee@kosif.org), 서승연 연구원(syseo@kosif.org)

#CoREi# 재생에너지# 2030국내 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보고서# 재생에너지 수요 보고서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
0

활동기업 수

2023년 5월 기준

문의안내

이성은 책임연구원

seongeun.lee@kosif.org

서승연 연구원

syseo@kosif.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