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보도자료] 넷제로 선언 무색한 국내 철강 소비 기업들, 그린철강 목표 “없다”2024-03-18 10:00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넷제로 선언 무색한 국내 철강 소비 기업들, 그린철강 목표 없다.docx (138.8KB)

 

넷제로 선언 무색한 국내 철강 소비 기업들, 그린철강 목표없다

 

-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최초로 국내 철강 기업의 그린철강 인식 조사

- 소비 기업 150곳 중 구매 목표 세운 기업 단 한 곳… 향후 고려는 14곳에 그쳐

- 글로벌 그린철강 소비 급속히 느는데,뒤처진 준비로 수출 경쟁력 약화” 우려

 

넷제로(탄소 순배출량 0) 달성 로드맵이 산업 전반에서 요구되지만, 철강을 사용해 제품을 만드는 기업들은 매우 뒤처져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철강 소비 기업 150곳에 물었을 때, 단 1곳만 “그린철강 조달 목표를 세웠다”고 답한 수준이다. 그린철강은 제조 공정에서 화석연료를 쓰지 않아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한 철강을 말한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은 18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보고서 ‘한국 철강산업의 그린철강 전환’을 발표했다. 국내 철강 생산 및 소비 기업의 그린철강 인식을 조사한 것은 이번 보고서가 최초다. 이번 조사엔 철강 소비 기업 150곳과 50개 생산 기업이 참여했다. 이들은 그린철강 소비(생산) 경험과 의향, 향후 소비(생산)에 관련된 목표수립 여부, 그린철강을 위한 추가 지불 의향 등에 답했다.

조사 결과, 그린철강 준비는 소비 기업이 생산 기업보다 크게 뒤처져 있었다. “그린철강에 대한 목표도 없고 향후 목표에 대한 계획도 없다”고 답한 비율이 소비 기업과 생산 기업에서 각각 90%와 58%로 집계된 것. “목표를 세우지 않았지만, 향후 목표 수립을 고려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생산 기업에선 42%, 소비 기업에선 9%였다.

 

철강 소비 기업에서 나타난 미약한 그린철강 구매 신호는 철강산업의 전환 노력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판로가 불확실하면 생산 기업이 선뜻 투자에 나설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철강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7%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이다. 국내에서도 2020년 기준, 9300만 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했다.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14.2%가 철강산업에서 나온 셈이다. 때문에 보고서는 “넷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그린철강 도입이 필수적이며, 이를 외면하는 기업들의 넷제로 목표는 현실적인 변화 없이 목표만 제시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그린철강에 대한 미흡한 준비는 한국 철강산업 국산 철강을 사용한 기업들의 수출경쟁력 약화로도 이어진다.

 

EU 2026년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실시해 탄소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CBAM 탄소배출량 규제가 강한 EU기업들이 불이익을 받는 것을 막겠다며 만든 무역 장벽의 일종이다. 미국에서도 2022 6 발의된 청정경쟁법(The Clean Competition Act) 추진 중이며, 법안은 철강을 비롯한 수입제품에 대해 톤당 55달러의 탄소세를 부과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번 조사에서향후 그린철강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 답한 소비 기업 8 5곳이 수출 경쟁력에 민감한 자동차 업종이라는 점도 글로벌 무역질서에서 그린철강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그린철강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정도로 빠르게 증가하는 해외 상황과 달리, 국내 철강기업들이 그린철강에 소극적인 것은 ‘가격’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기업은 “비싼 가격 때문에 목표수립을 하지 않는다(62%)”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생산 기업 역시 ‘원가 상승(31%)’, ‘소비자 요구 없음(21%)’ 순으로 소극적 대응의 원인을 가격에서 찾았다. 다만 생산기업과 소비기업 모두 ‘그린철강이 미래 경쟁력에 있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5점 척도로 조사한 항목에서 소비기업은 평균 3.57점, 생산기업은 3.72점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남나현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선임연구원은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그린철강 수요 촉진의 열쇠”라며, “그린철강 기준 확립과 공공조달 확대로 수요를 촉진하고, 그린철강 생산시설 투자에 대한 재정 지원과 그린수소 및 재생에너지 확대로 생산기업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철강산업이 직면한 문제들을 조명한 이번 보고서는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끝>

 

<한국 철강산업의 그린철강 전환 보고서 보러가기>

 

문의: 남나현 선임연구원(nhn5505@kosif.org), 정병하 연구원(bhjeong@kosif.org)

#철강산업# 그린철강# 인식조사# 넷제로

문의안내

E-MAIL kosif@kosif.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