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보기
[행사후기] 제11차 기후행동라운드테이블(CART)
Level 10조회수37
2025-03-12 18:34

[행사후기] 제11차 기후행동라운드테이블(CART)

 

 

기업재생에너지이니셔티브(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WWF 한국본부,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2월 28일 (금) 르메르디앙 서울 명동 호텔 제11차 기후행동라운드테이블(CART)를 개최하였습니다. 본 라운드테이블은 “자연자본 정보공시 동향과 대응 방향성”을 주제로 국내외 자연자본 공시의 최신 동향 및 관련 기업 사례를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본 행사는 공동주최기관의 환영사로 시작되었습니다. 박민혜 세계자연기금(WWF) 한국본부 사무총장은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TNFD 대응의 중요성과 함께, 정치적 변동에 관계없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여정을 계속 함께 할 것을 당부드린다고 전했습니다. 양춘승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상임이사는 기업의 자연자본 관리가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일시적인 정치적 혼란에도 자연자본 관리를 통한 지속가능성 확보 노력은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유연철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은 기업이 생물다양성 보전을 리스크만이 아닌 새로운 기회로 보고 자연자본 공시와 같이 선도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장기적인 경쟁력을 좌우할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여 통합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I 1부. TNFD 동향과 평가 도구

 

Tejeshwar Goyal TNFD 아태지역 리드의 ‘Introduction to TNFD’ 발표로 1부가 시작되었습니다. TNFD는 기업과 금융기관이 자연 관련 리스크를 평가 및 공시하고 대응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경영의사결정에 자연환경 관련 요소가 고려될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14개의 공시 권고사항과 함께 자연 관련 리스크·기회·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LEAP 접근법*을 소개했습니다.

*LEAP 접근법: 자연 관련 이슈를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파악(Locate), 측정(Evaluate), 평가(Assess), 준비(Prepare) 단계로 구성된 접근법

 

다음으로 Nicolas Pooleen, WWF International 시니어 매니저의 ‘From Disclosure to Action – to manage nature-related risks’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SBTN은 기업, 환경 비영리 단체, 국제기구 등의 지속가능성 전문가들이 함께하여 도시와 기업이 지구 생태계의 한계를 고려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툴, 방법론 제공을 위해 협력 중임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기업이 자연에 대한 기업 경제 활동의 영향과 의존성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 WWF 리스크 필터가 소개되었습니다.

 

1부의 마무리로 조대현 AIGCC 매니저의 ‘투자자의 자연자본 정보공시 동향과 대응 사례’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자연 관련 공시에 대해 투자자의 성격을 정보이용자와 정보제공자로 구분하며, 아직 자연 관련 공시가 활발하지 않은 국내에서는 특정 범위 등 일부에 대해서만 자연 관련 공시가 이루어져도 투자자 입장에서는 공시를 진행한 기업이 유의미한 차별점을 갖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국내외 자연 관련 공시를 진행한 기업 사례 소개와 함께, 시작할 수 있는 부분과 같이 작은 범위부터 우선 자연 관련 공시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I 2부. TNFD 대응 방향성 및 사례

2부는 박소은 대신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의 ‘생물다양성 위험과 기업 공시현황 – TNFD 공시 대응 방법을 중심으로’로 시작되었습니다. TNFD 공시를 진행하고 있는 국내외 기업 사례 소개와 함께 국내 기업이 TNFD 권고안에서 요구하는 재무영향, 자연자본 관련 지표 및 목표 등이 대부분 부재하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거버넌스,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 중심의 TNFD 대응 방향과 함께 TNFD 권고안 활용 방안으로 LEAP 접근법 연계, 사용 가능한 지표 등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습니다.

이어서 권혁화 SK하이닉스 팀장은 ‘기업의 생물다양성 보전 사업 사례’ 발표를 통해 SK하이닉스의 환경 경영 비전과 생물다양성 등 자연 자본 관리 대응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전통적 환경 경영의 한계 보완을 위하여 자연 자본의 재무 중대성 개념을 도입을 통한 새로운 환경경영의 필요성 인식을 설명했습니다. 이를 위한 Green 2030 전략과 함께 녹색 채권을 활용한 생태 복원 사례,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및 현황 정보 제공 등의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대응 전략 사례가 소개되었습니다.

 

I 3부. 패널토론

3부의 패널토론에는 조대현 AIGCC 매니저(좌장), 박소은 대신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이재호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권혁화 SK하이닉스 팀장이 참여하여 환경부와 TNFD 협력 사항, 산업군별 TNFD 공시 변화, TNFD 대응 시 장기적인 이점, TNFD 관련 투자자 요청 대응 전략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문의: 서승연 연구원(syseo@kosif.org), 남나현 선임연구원(nhn5505@kosif.org)

 

#제11차 기후행동라운드테이블(CART)

문의안내

E-MAIL kosif@kosif.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