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100는(Electric Vehicle 100%) 기업주도로 전기자동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여

수송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고자 출범되었습니다.

EV100 가입 기업은 2030년까지 기업의 운송수단을 전기자동차로 전환하거나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을 설치하여 기업 수준에 맞는 약속을 공개해야 합니다.

기업은 EV100가입을 통해 전기자동차 프로필 구축, 타 기업 사례 공유,

정책 인게이지먼트 활동 참여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넷제로 전환 실현의 시작, EV100

작성자
user
작성일
2024-06-17 15:53
조회
3461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산업 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전 세계 에너지 관련 온실가스 배출량 중 23%는 수송 분야에서 발생하며, 이 가운데 97%가 화석연료 기반의 자동차에서 비롯됩니다. 


기업이 수송 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기업 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EV)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기업의 모든 수송수단을 EV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공개한 기업 주도의 글로벌 이니셔티브 EV100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EV100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EV100은 무엇이고 EV100의 비전과 목표, 그리고 현재 가입 현황은 어떠한지, 더 나아가 EV100 회원사로서의 혜택과 의무에 대해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 


문의: syseo@kosif.org, nhn5505@kosif.org

글보기
EV100 2023 연간보고서
Level 10조회수477
2024-04-12 14:49

 

 

 

   

2023 EV100 연간보고서

 

EV100의 2023 연간보고서. 2023년에 데이터를 보고한 117개국 128개 가입기업의 응답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한 친환경 자동차 목표 및 이행현황 등의 내용을 담았습니다.

 

[목차]

Foreword

Key findings

Global Commitments and Progress Around the World

Countries where EV100 members have deployed EVs

Total Figures

Individual Corporate Fleets

Charging

Leasing and Transport Network Company

Fully electric or plug-in hybrid?

Regional overview

EV100+

Annex – EV100 global members 2023

 

 

[EV100 연간보고서]

1. EV100 현황(2023년 보고 기준)

  • 117개 국가에 위치한 128개 기업 가입
  • 전환예정 차량대수 545만대, 공약 충전소 6,651개소
  • 전환완료 차량 수 636,019대(일반회사124,821대, 운송네트워크사업자* 511,198대)
  • 완공 충전소 3,442개소 (충전기 35,239개). 전환대수는 2023년 연간보고를 제출한 117개 EV100 회원사 데이터에 기반한 수치임. *운송네트워크사업자: TNC, Transportation Network Company

 

2. 실적 상세분석 - 일반기업

  • 총 128개의 일반기업(비 운송네트워크사업자)이 자사의 보유 또는 임대차량 플리트(차량보유차고)에 총 91만 3,215대의 친환경자동차 도입을 약속함.
  • 현재까지 124,821대의 친환경차가 전환됐으며, 작년에만 45,206대는 도입.
  • 국가별 현황
  • 약속 차량대수 순위: 인도,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벨기에, 이탈리아,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 실제도입 차량대수 순위: 영국, 인도,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일본, 미국, 벨기에, 스웨덴

 

 

  • 기업별 현황
  • 2023년 친환경차량 구매 순위: Zomato, EDF, AstraZeneca, Simens, Capgemini, Flipkart, Deloitte, E.ON, BT Group, Bayer
  • 친환경 차량유형별 현황
  • 임시적인 해결책으로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허용하고 있음에도, BEV(전기자동차)를 PHEV보다 우선하여 구매하고 있음. BEV의 도입대수가 2018년 8,500대에서 2023년 86,209대로 10배 이상 증가함.
  • 전기자동차의 전체 수명주기(lifecycle)를 고려할 때, BEV의 배출량은 PHEV의 배출량보다 낮음.
  • 전체 수명주기를 고려할 때, BEV의 배출량은 내연기관차(ICE) 대비 최대 67% 감축되는 반면, PHEV의 배출 절감 효과는 차종에 따라 상이하며, 일부 모델은 ICE 대비 배출량을 약 10%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3. 실적 상세분석 – 충전시설

  • 73개의 기업이 전기차 충전시설에 대한 인프라 설치를 약속하고 있음
  • 2023년 기준 35,239의 EV 충전기가 3,442개의 지역에 설치되었으며, 이는 EV100 설치하기로 한 충전 인프라의 절반 이상을 의미함
  • 작년 한 해에만 5,057개소의 충전소 설립
  • 4,246개소의 급속 충전시설(fast charging). 726개소의 초고속 충전시설(rapid charging)
  • 회원사들은 이와 별개로 거의 7,000개의 초고속 또는 급속 충전기를 내년에 걸쳐 설립할 예정임
  • 국가별 현황
  • 진행중인 지역별 충전소 설치 이행률 순위: 유럽, AMEA(아시아, 중동 및 아프리카), 북미, 오세아니아, 남미, 아프리카, 이외 지역
  • 실제 설치 충전소 순위: 영국, 미국, 중국

 

4. 실적 상세분석 – 운송네트워크사업자(TNC)

  •  EV100에는 현재 총 9개 운송네트워크사업자가 가입돼 있음.
  • 이들이 약속한 전기차 도입 수는 총 4,539,132대며, 이미 511,198대의 친환경차를 운영 중. 이중 186,205대는 작년 도입된 차량임.

 

 

  • 기업별 현황
  • 누적 친환경차량 도입 순위: LeasePlan, Lloyds Banking Group, Lyft, Zenith, Tusker,
                                   SK Networks(SK Rent-a-Car), Fleet Alliance, Ogilvie, Localiza
  • 친환경 차량유형별 현황
  • BEV 도입: 194,079대(2022년)에서 340,026(2023년)대로 증가
  • PHEV 도입: 128,389대(2022년)에서 171,011대(2023년)로 증가

 

<운송네트워크사업자 운영차량 분석>

5. EV100+

  • 2022년 런칭된 이니셔티브 EV100+는 탄소 제로 배출 중대형 차량 시장(MHDV)을 반영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
  • 2023년 9월, JSW Steel, IKEA, Flipkart 기업은 인도 전역의 물류차량에 전기트럭을 도입하기 위한 시범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며, 인도는 2050년까지 도로의 트럭 수가 4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임.
  • EV100+ 회원사: Geopast, IKEA, JSW Steel Ltd., A.P.Moller – Maersk A/S, Unilever, Prologis

 

 

<보고서 원문 보러가기>

문의: 남나현 선임연구원(nhn5505@kosif.org), 서승연 연구원(syseo@kosif.org)

#EV100 연간보고서# EV100
128
EV100 가입 글로벌 기업 수

2024 EV100 Annual Report 기준

문의안내

남나현 선임연구원

nhn5505@kosif.org

서승연 연구원

syseo@kosif.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