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언론 인터뷰]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 글로벌서 본격화, 올해가 기업 대비의 '분수령'(비즈니스포스트)2024-01-12 16:37
작성자 Level 10

[2024 ESG 미리보기]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 글로벌서 본격화,
올해가 기업 대비의 '분수령'

 

지속가능성 공시와 관련해 유럽연합에서는 올해 1월1일부터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CSRD)의 단계적 적용이 시작된다.
유럽연합 내 기업은 물론 유럽연합 내 지사, 자회사 등을 보유한 유럽연합 외 기업들도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의 대상이다.
사진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모습. <위키피디아 커먼즈>

 

[비즈니스포스트] 2024년은 기후정보 등 지속가능성 공시의 의무화 흐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해로 보인다.

올해 세계 곳곳에서 지속가능성 공시의 주요 기준과 규범이 적용되기 시작하는 등 기후공시 의무화 일정이 본격화한다.
 
10일 세계 주요국의 움직임을 종합해 보면 2024년은 기업들의 기후공시 대비에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연합(EU)에서는 올해 1월1일부터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CSRD)의 단계적 적용이 시작됐다.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정보의 공시를 위해 기존의 비재무정보공시지침(NFRD)를 강화해 새로 마련한 지침이다.

 

유럽연합은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의 단계적 적용을 놓고 우선 2024년에 유럽연합 내 대형 상장기업을 시작으로 2028년까지 역내 모든 기업에 적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올해 적용 대상이 되는 유럽연합 내 대형 상장기업들은 2024년의 지속가능성 관련 경영정보를 취합해 2025년에 공시해야 한다.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은 최종적으로 유럽연합 내 기업뿐 아니라 유럽연합에 일정 기준 이상의 지사 혹은 자회사를 두고 있는 기업도 적용 대상으로 삼는다.

한국 기업이라도 유럽연합에서 경영활동을 하는 이상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의 적용을 피해갈 수 없다는 의미다.


미국 역시 지속가능성 공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탄소배출량 등 기업의 기후공시 기준을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마련한 기준은 뉴욕 증시에 상장한 기업들에게 적용되는 만큼 세계 주요 기업들에 광범위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뉴욕 증시에는 LG디스플레이, 쿠팡, 포스코홀딩스, 한국전력공사, SK텔레콤, KT,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등 한국 기업들도 예탁증권(ADR) 혹은 기업공개(IPO)를 통해 상장해 있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증권거래위원회에 앞서 지난해 10월에 상장기업은 물론 모든 민간기업에까지 기후공시를 의무화하는 등 강도 높은 기후공시 관련 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했다.

 

미국, 유럽연합 외 국가에서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마련한 공시 기준의 도입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는 국재재무보고기준(IFRS) 재단 산하 기관으로 지난해 6월에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인 IFRS S1(일반요구사항)과 IFRS S2(기후 관련 공시) 최종안을 발표했다. 이들 기준은 내년 즉 2024년 1월1일부터 유효한 공시기준(이하 ISSB 기준)으로 활용된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에 열린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세계 주요 기업과 투자자, 회계법인, 비정부기구 등 400여 기관들은 ISSB 기준 채택을 지지했다.

 

영국, 호주를 비롯해 싱가포르, 일본 등 국가에서도 ISSB 기준을 바탕으로 2024~2025년 중 지속가능성 공시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 2022년 10월25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IFRS재단 이사회 서울 총회 및 ISSB 공개 세미나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세계적으로 각국이 지속가능성 공시의 도입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한국 정부의 움직임은 다소 더뎌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0월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의 의무화 시기를 2026년 이후로 미룬다고 결정했다. 금융위는 2021년 1월에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를 2025년부터 시작한다는 정책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금융위의 결정을 놓고 ISSB 기준의 수립 일정은 수년 전부터 이미 예고된 내용이라는 점, 금융위가 정책 계획이 발표된 뒤 3년 가까이 시간이 있었다는 점, 2026년 이후라는 내용 외에 구체적 시점도 정하지 못했다는 점 등을 놓고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미 미국, 유럽연합 등 한국의 주요 교역국에서 이르면 2025년부터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를 결정했고 한국 기업도 적용 대상에서 예외가 아닌 이상 국내 도입을 미루는 것은 오히려 기업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김태한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 수석 연구원은 “우리 기업도 이제 글로벌 투자자의 투자를 받고 해외 무대에서 경쟁하는 상황에서 한국만 공시의무화를 연기한다고 해서 해외 투자자와 고객사 그리고 소비자의 우리 기업에 대한 지속가능성 정보 요구나 평가가 멈출리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 기업의 장기 경쟁력을 해치는 근시안적 정책을 멈추고 공시 의무화를 앞당기되 지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상호 기자

 

<원문 보러가기>

 

#지속가능성 공시# CSRD# SEC# IFRS S1# S2

문의안내

E-MAIL kosif@kosif.org